GALLERY MAC
Skip to main content
  • Menu
  • Home
  • Artists
  • Exhibitions
  • Art Fairs
  • Publications
  • Contact
Cart
0 items ₩
Checkout

Item added to cart

View cart & checkout
Continue shopping
Menu
MISTER
Jinsung PARK solo exhibition, 15 June - 13 July 2024

MISTER: Jinsung PARK solo exhibition

Past exhibition
  • Overview
  • Works
  • Installation Views
  • Press release
  • Video
  • Related Artists
Overview
MISTER, Jinsung PARK solo exhibition
Unfamiliar yet Somehow Familiar Faces: The Art of Jinsung PARK
 
MISTER
Jinsung PARK solo exhibition
2024. Jun. 15 - Jul. 13
Characters that seem unfamiliar, yet vaguely recognizable. Jinsung PARK's work captures the essence of adult experiences within the innocent appearance of children, serving as a contemporary self-portrait that expresses the most primal and human emotions.
While his early works primarily featured middle-aged men whose tears conveyed a wide range of emotions, recent work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objects within the same thematic context. Beyond the tear drops symbolizing emotional expression, objects such as the "Bluebird," which visualizes messages of happiness, the "Pink Mass," symbolizing maternity and femininity, and the "Balloon," representing suppressed stories being brought to light, have been used to create rich visual effects and convey themes of "comfort" and "consolation." Additionally, a character writing his life's story appears with the object of a "book."
The works of Jinsung PARK, primarily centered on the "story" of the middle-aged man, start from his personal narrative but expand to reflect the lives of all contemporary individuals. His solo exhibition "MISTER" features not only his previously presented sculptures of the middle-aged man but also introduces new bas-relief pieces from the "Book" series.
As civilization progresses, the situations humans face and the emotions that follow have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varied. While rational judgment based on logical thinking is important, the significance of emotions and instincts rooted in intuition has also been continually emphasized. Yet, we still often hide our true emotions behind the facade of social decorum and the guise of adulthood, building walls of unresolved feelings within ourselves. The artist, who asserts that every tear in his work is not one of sadness but rather a preparation for happiness, believes that true happiness comes when we momentarily set aside our adult facade and reveal our honest selves. This is why Jinsung PARK's work is truly needed in today's society.
  • Artsy
  • Blog
Share
  • Facebook
  • X
  • Pinterest
  • Tumblr
  • Email
Works
  • It's okay, it's okay 괜찮다 괜찮다 2023, Acrylic on frp, 30x38x65cm

    It's okay, it's okay 괜찮다 괜찮다

    2023, Acrylic on frp, 30x38x65cm

  • Me and me 나와 나 2024, Acrylic on frp, 24x65x67cm

    Me and me 나와 나

    2024, Acrylic on frp, 24x65x67cm

  • It's okay it's okay 괜찮다 괜찮다 2024, Acrylic on frp, 25x30x46cm

    It's okay it's okay 괜찮다 괜찮다

    2024, Acrylic on frp, 25x30x46cm

Installation Views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Jinsung PARK, MISTER, 2024  Installation view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Jinsung PARK, MISTER, 2024  Installation view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Jinsung PARK, MISTER, 2024  Installation view

Jinsung PARK, MISTER, 2024

Installation view

Press release
붓을 잡은 조각가들, 이유 있는 외도?

 

2024. 07. 07일자

김효정 기자 teresa@busan.com

 

부산 대표 조각가 박진성·감성빈

맥화랑·아트 소향서 각각 개인전

독창적 조각 넘어 회화까지 선봬

 

박진성과 감성빈. 부산의 40대 조각가인 두 사람은 치열한 작업으로 미술판에서 꽤 유명하다. 전업 작가라는 말 그대로 두 작가는 매일 아침 작업실로 출근해 저녁까지 작업만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어떤 메시지를 담을지부터 어떤 형태로 발전시킬까에 대해 고민을 반복했고 당연히 작품에 그들의 노력이 고스란히 담겼다. 이젠 전국 아트페어를 비롯해 외국 페어에서조차 두 사람의 작품을 찾을 정도로 고정 팬도 많이 생겼다.

​

이름이 꽤 알려진 작가로 미술판에서 안정된 위치를 차지했지만, 두 작가는 멈추지 않았고 그 결실을 만날 수 있다. 부산의 두 화랑에서 펼쳐진 두 작가의 개인전에선 기존의 장점에 더해진 새로운 시도가 무척 반가웠다. 장기인 조각뿐만 아니라 회화까지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자신의 이야기를 좀 더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주말까지 열리는 두 작가의 개인전은 미술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꼭 챙겨보길 권한다.

​

박진성 작가의 새 시리즈 ‘나와나’. 맥화랑 제공


■박진성, 눈물의 카타르시스

​

어른이 된다는 건 감정에 솔직해져서는 안 된다는 걸 배우는 과정이다. 특히 남자 어른의 눈물은 나약함을 드러내는 것이라 여겨 참아야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박진성 작가의 작품은 눈물이 주는 긍정적 효과와 위로에서 시작됐다.

​

맥화랑에서 13일까지 열리는 박진성의 ‘미스터’전은 어린아이의 외향에 민머리, 거뭇거뭇한 수염과 깊은 주름을 가진 박 작가 특유의 인물을 만날 수 있다. 어린이도 아니고 어른도 아닌 외모, 한 방울의 눈물을 머금은 이 인물은 많은 이들의 웃기로 울렸다. 재미있는 상황에 웃다가 조각에 다가갈수록 느껴지는 고달프고 힘든 정서에 동질감을 느낀다. 본인 같아서 혹은 아버지 같아서 혹은 그리운 어떤 존재 같아서 많은 관객이 박 작가의 인물 조각을 집에 데리고 갔다. 울지 못했던 현대의 어른들은 자신을 대신해 울어주던 조각에서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

박진성 ‘풍선’. 맥화랑 제공


박진성 ‘my story’. 맥화랑 제공


이 시리즈로 큰 사랑을 받았던 박 작가는 계속 작업을 확장시켰다. 다양한 오브제를 등장시키며 위안을 받을 수 있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찾기 시작했다. 작은 꽃을 들고 있거나 풍선 같기도 하고 큰 쿠션 같기도 한 핑크빛의 덩어리와 함께 한 인물도 있었고,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해 보자는 의미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을 책과 인물 시리즈도 선보였다. 파랑새 시리즈 역시 희망과 행복의 메시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준 작품이었다.

​

베스트셀러처럼 미술 시장의 반응이 좋은 시리즈를 여러 개 가졌지만, 박 작가는 이번 개인전에서 새로운 시리즈를 탄생시켰다. 부조 형태로 만들어진 책 조각 위에 페인팅이 덧입혀진 액자 시리즈와 똑같이 생긴 두 인물이 손을 맞대거나 마주 보는 ‘나와나’ 시리즈가 그것이다.

​

책 모양의 조각에 회화를 직접 그린 박진성의 ‘파랑새-여행’. 맥화랑 제공


우선 액자 시리즈에선 박 작가의 단단한 페인팅 실력에 놀라게 된다. 조각에서 드러난 채색 솜씨를 미리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놀라운 수준의 회화 작품을 선보일 정도일 줄 몰랐다. 전시장에서 만난 한 회화 작가는 “조각에 페인팅까지 잘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냐”는 푸념을 잔뜩 할 정도였다.

​

나와나 시리즈는 박 작가의 고민이 특히 많이 담긴 작품이다. “제 작업을 관통하는 주제가 위로인데 문득 나를 가장 잘 알고 잘 위로해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자신이더군요. 너무 힘들거나 슬플 땐 옆에서 누가 뭐라고 해도 들리지 않더군요. 결국 스스로 마음을 잡고 일어나야 한다는 걸 느꼈죠. 그래서 쌍둥이처럼 같은 두 사람이 서로를 보며 위로하는 나와나 시리즈가 탄생했어요.”

​

슬픔이 아니라 행복해지기 위한 눈물, 진정한 위로를 전하는 내면의 나. 전시를 보고 나면 뭔가 무거운 짐을 내려놓은 듯 가벼워진 자신을 마주할 수 있다.

Video

Related artist

  • Jinsung PARK

    Jinsung PARK

Back to exhibitions
Manage cookies
Copyright © 2025 GALLERY MAC
Site by Artlogic
Instagram, opens in a new tab.
Facebook, opens in a new tab.
Artsy, opens in a new tab.
Send an email
View on Google Maps
Youtube, opens in a new tab.

This website uses cookies
This site uses cookies to help make it more useful to you. Please contact us to find out more about our Cookie Policy.

Manage cookies
Accept

Cookie preferences

Check the boxes for the cookie categories you allow our site to use

Cookie options
Required for the website to function and cannot be disabled.
Improve your experience on the website by storing choices you make about how it should function.
Allow us to collect anonymous usag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ience on our website.
Allow us to identify our visitors so that we can offer personalised, targeted marketing.
Save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