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LERY MAC
Skip to main content
  • Menu
  • Home
  • Artists
  • Exhibitions
  • Art Fairs
  • Publications
  • Contact
Cart
0 items ₩
Checkout

Item added to cart

View cart & checkout
Continue shopping
Menu
WHITE
8th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Younghwan PARK' Solo Exhibition, 18 May - 8 June 2024

WHITE: 8th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Younghwan PARK' Solo Exhibition

Past exhibition
  • Overview
  • Works
  • Installation Views
  • Press release
  • Video
  • Related Artists
Overview
WHITE, 8th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Younghwan PARK' Solo Exhibition
Since 2009, GALLERY MAC has continuously supported young artists' ongoing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Emerging and Young Artists Support Exhibition)."
 
Art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and exhibited their work include Doowon LEE in 2013, Eunsuk YOO and Hyunyeop KIM in 2014, and Hyunsoo KIM in 2022. These emerging artists have grown into active blue-chip artists in the art world. Notably, Doowon LEE, who won the award in 2013, has been highlighted in the art worl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a solo exhibition at Saatchi Gallery in London in 2023 and participation in the Busan Biennale in 2024. GALLERY MAC hopes that through the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Emerging and Young Artists Support Exhibition)," young and talented artists are introduced to the art market and continue their work, growing into accomplished artists.
 
For the 2024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Emerging and Young Artists Support Exhibition)," Younghwan PARK, born in 1998, has been selected as this year's awardee. Although Younghwan PARK, who graduated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with a major in Korean painting in February this year, has just embarked on a career as a full-time artist, his work's level of completion and the narratives he seeks to convey demonstrate his potential and depth.
 
The artist shapes the linear flow of 'time' into the form of spheres. The brightness of these spheres changes the perspective of time, altering the clarity of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Spheres with low brightness, such as dark black, symbolize present life, vivid memories, and experiences, while spheres with higher brightness represent past traces such as fleeting memories, emotions, and, ultimately, death.
 
In the artist's work, viewers adopt a perspective of looking from inside a window to the outside. The hazy spheres in the outside landscape represent memories that have become blurred, forgotten, or evaporated emotions, and the snow accumulating or falling covers these landscapes faintly.
 
By expressing intangible and conceptual ideas like 'time,' 'personal experience,' 'memory,' and 'emotion' through visual forms like 'windows' and 'spheres,' the artist segments linear time and embodied experiences, continually reflecting on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through constant self-objectification. In the space created by the young artist, viewers reflect on their own lives through the visualized landscape, engaging in contemplation.
 
The 8th GALLERY MAC Young Artist Award (Emerging and Young Artists Support Exhibition) featuring Younghwan PARK will be held from May 18, with the solo exhibition titled "White." On the opening day, Saturday, May 18, at 3 p.m., there will be a performance as part of the exhibition program, along with a meeting with the artist. The performance will feature sound performer Heejin JANG, based in Seoul, and contemporary dancer Junhyung PARK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expanding the formal limits of two-dimensional painting into a three-dimensional stage and offering an aesthetic experience different from traditional flat painting. This performance aims to present alternative and non-mainstream art forms, which have often been treated as such, within a commercial gallery space.
 
  • Jeongwon KIM, gallerist (GALLERY MAC)
Share
  • Facebook
  • X
  • Pinterest
  • Tumblr
  • Email
Works
  • Unknown Until After 지나기 전엔 알지 못했던 2024, Korean ink on Korean traditional paper, 116.8x80.3cm

    Unknown Until After 지나기 전엔 알지 못했던

    2024, Korean ink on Korean traditional paper, 116.8x80.3cm

Installation Views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Open a larger version of the following image in a popup:
Press release
틀을 깬 수묵화, 미술팬들 사로잡았다!

2024. 05. 30일자 <부산일보>

김효정 기자 teresa@busan.com

 

 

박영환 ‘흰’전, 8일까지 맥화랑

기하학적 직선과 구·풍경 조화

20대 불구 대가적 필치 선보여

​

박영환 ‘짙고 희던 순간의 끝에서’. 맥화랑 제공


​

“저에게는 먹이 가장 ‘힙’하고 ‘팝’한 도구입니다. 먹으로 평생 새로운 걸 할 수 있겠다 싶었어요.”

​

박영환 작가의 이 한마디를 들으며 왜 그렇게 많은 사람이 작가의 수묵화에 홀리는지 알 수 있었다. 올해 2월 부산대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이제 막 사회에 발을 뗀 20대 중반이지만, 박 작가의 작품은 이미 대가의 풍모가 물씬 풍긴다. 부산 맥화랑에서 진행 중인 개인전 ‘흰’이 작가에겐 상업화랑 첫 전시이자 전업 작가로 데뷔 무대지만, 전시 첫날 작품 대부분이 팔릴 정도로 미술 애호가들 사이에선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다.

​

실제로 박 작가의 작품은 앞서 몇 번의 아트 페어에서 본 적이 있다. 백여 개가 넘는 갤러리, 수천 점의 그림들이 한곳에 모였지만, 유독 많은 사람이 작가의 작품 앞에서 서성거렸다. 지나가던 관객들의 발길을 붙잡은 건 오롯이 작품이 가진 매력이었다.

​

“고등학교 1학년 때 처음 먹그림을 그렸어요. 그 매력에 푹 빠졌죠. 하지만 당시에도 미술 공부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먹그림으로는 먹고 살기는 힘들다며 이 분야를 기피했어요. 내가 보여주자 싶은 오기가 생기더라고요.”

​

​

박영환 ‘지나기 전엔 알지 못했던’. 맥화랑 제공


​

통창의 현대적인 건물 안, 직선의 촘촘한 계단 아래 둥근 구체들이 있다. 창밖으로 숲이 펼쳐지고 눈이 내린다. 안쪽의 구체는 진한 검은색이고, 회색과 흰색의 구체는 밖의 숲 곳곳에 놓여 있다. 커다란 창문을 통해 눈 내리는 밖을 바라보는 것 같다. 화면의 양 모서리를 막아 세운 건물 벽, 중앙에 펼쳐진 계단은 건축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밖의 풍경은 작가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자 연출된 자연이다. 종이를 뜯어내 눈을 표현했고 흔들리는 나무의 질감이 잘 살아나 회화가 아니라 영상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

“그림 속 창은 현재와 과거의 경계 지점입니다. 창 안의 검정 구체들은 현재를 살아가는 삶을 뜻하고 밖의 흰 구체는 삶의 마지막 지점인 죽음을 암시하기도 하고 사라진 기억이기도 합니다. 회색은 잊혀가는 기억이나 경험이고요. 사람 내면에 대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고, 시간의 흐름과 삶을 담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

사실 수묵화에 수학 도형 같은 모양들이 등장하는 걸 두고 처음에는 말이 많았다. 주변 친구와 선생님 모두 반대했다. 수묵 풍경화를 무척 잘 그리던 작가의 변신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

그러나 미술 시장에선 낯선 시도가 새로운 매력으로 통했다. 먹과 종이, 화법에 대한 치열한 공부가 바탕이 돼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미가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학생임에도 대안공간의 공모 전시를 비롯해 여러 곳의 그룹전에 초대받았다. 아트 페어에서 그림이 팔리기 시작했고, 맥화랑 미술상에 선정되며 대형 갤러리 초대 개인전까지 이어졌다.

​

박영환 ‘멀고 가까운 기억을 지피며’. 맥화랑 제공


 

창밖 풍경 그림과 함께 눈 내리는 산에서 구체를 굴리며 올라가는 사람을 그린 시리즈도 박 작가의 대표작이다. 힘든 순간을 이겨내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박 작가는 그림 작업뿐만 아니라 자신의 그림을 사람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느끼도록 퍼포먼스 공연을 함께 진행한다. 맥화랑 전시 첫날에도 현대 무용과 무대 연출, 그림이 결합된 퍼포먼스 공연을 선보였다. 이전에도 영상 작업과 DJ믹싱이 들어간 퍼포먼스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퍼포먼스 공연 영상은 유튜브에서 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6월 8일까지 열린다.

​

​

맥화랑의 박영환 작가 전시 개막날 열린 퍼포먼스 공연 모습. 맥화랑 제공


맥화랑의 박영환 작가 전시 개막날 열린 퍼포먼스 공연 모습. 맥화랑 제공

 


맥화랑의 박영환 작가 전시 개막날 열린 퍼포먼스 공연 모습. 맥화랑 제공

 


맥화랑의 박영환 작가 전시 개막날 열린 퍼포먼스 공연 모습. 맥화랑 제공

 


맥화랑의 박영환 작가 전시 개막날 열린 퍼포먼스 공연 모습. 맥화랑 제공

​

​

​

 

Video

Related artist

  • Younghwan PARK

    Younghwan PARK

Back to exhibitions
Manage cookies
Copyright © 2025 GALLERY MAC
Site by Artlogic
Instagram, opens in a new tab.
Facebook, opens in a new tab.
Artsy, opens in a new tab.
Send an email
View on Google Maps
Youtube, opens in a new tab.

This website uses cookies
This site uses cookies to help make it more useful to you. Please contact us to find out more about our Cookie Policy.

Manage cookies
Accept

Cookie preferences

Check the boxes for the cookie categories you allow our site to use

Cookie options
Required for the website to function and cannot be disabled.
Improve your experience on the website by storing choices you make about how it should function.
Allow us to collect anonymous usag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ience on our website.
Allow us to identify our visitors so that we can offer personalised, targeted marketing.
Save preferences